본문 바로가기
글,책 정리

70세까지 기다릴 필요 있을까? 사회보장연금 수령 시기, 다시 생각해야 할 3가지 핵심 포인트

by 청코너도전자 2025. 4.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청코너도전자 입니다. 오늘은 연금에 대해서 미국의 아티클을 가지고 왔습니다. 무슨 상관이냐고요? 연금의 운영방법이 다르고, 우리의 재정은 고갈이라는 말이 나와서 다를 뿐. 지급 방식도 유사한데, 함의하는 메시지는 우리에게 깊은 한방을 줍니다.

자, 연금보다 중요한 내용은 뭔지 확인해 보시죠!.

 

 

“늦게 받을수록 좋을까?” 70세 이후 사회보장연금 수령, 꼭 다시 생각해봐야 할 3가지 이유

많은 사람이 은퇴를 준비하며 ‘사회보장 연금(Social Security)’을 최대한 늦게, 70세부터 받는 게 유리하다고 믿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늦게 받을수록 매달 지급되는 금액이 최대 32%까지 올라가니까요. 하지만 정말로 '늦게 받을수록 무조건 유리한 것’일까요? 미국의 잘 알려진 개인 재무 전문가인 모리 백맨(Maurie Backman)은 최근 The Motley Fool에 기고한 글에서, 누구에게나 해당하진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지금 같은 시대에는 ‘금액’보다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자체가 훨씬 더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왜 꼭 70세부터 수령하지 않아도 될까?"라는 질문에 답하면서 우리가 놓치기 쉬운 3가지 중요한 관점을 함께 짚어보려 합니다.

---

🧠 1. 지긋지긋한 직장이 여러분의 삶을 좀먹고 있다면?

사회보장 연금을 늦게 수령하려면 그만큼 오래 일해야 합니다. 특히 67세 이후에도 계속 일을 해야 하죠. 그런데 문제는, 지금 하는 일이 더 이상 즐겁지 않다면요? 갑작스럽게 바뀐 상사, 과중한 업무 혹은 더 이상 하고 싶지 않은 일이 일상이 되었다면, 남은 몇 년이 그저 견디는 시간으로만 흘러갈 수 있습니다. 삶의 질을 생각했을 때, 이 시기를 억지로 버티는 것이 과연 현명한 선택일까요?

 

👉 작은 연금 차이보다 ‘오늘 하루의 행복’이 훨씬 중요할 수 있습니다.

---

🩺 2. 건강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정년까지 아무 문제 없던 사람도 은퇴 시점에서 갑자기 병원 신세를 지는 일이 많습니다. 만약 최근 건강이 나빠졌다면, 장기적인 수명을 전제로 하는 수령 지연 전략은 오히려 손해일 수 있습니다. 70세에 연금을 개시했지만 75세에 세상을 떠난다면, 그동안 받지 못한 금액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전체 수령 총액이 크게 줄게 됩니다.

 

👉 건강이 불안하다면 ‘시간이 금’일 수 있습니다. 더 빨리 연금을 개시해서 안정감 있는 노후를 준비할 수 있죠.

---

💰 3. 이미 노후 자금이 충분하면? 우리 중 많은 이들이 ‘연금 없으면 못 살아’라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우리는 괜찮은 준비를 해오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만약 현재 본인의 은퇴 계좌(401k, IRA 등), 투자 자산이 충분히 크다면? 연금을 조금 일찍 받아도 재정적으로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은퇴 후 비교적 젊은 나이에 여유 자금을 활용해 여행이나 버킷리스트 실현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유리할 수도 있어요.

 

👉 늘어난 연금보다 ‘젊고 건강할 때’의 기회비용이 더 중요합니다.

---

📝 마무리하며: 사회보장 연금 수령을 ‘70세까지 미루는 것이 무조건 현명하다’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됐습니다. 오늘 우리는 숫자보다 중요한 세 가지, 바로 삶의 질, 건강, 자산 규모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결론은 이렇습니다 — 연금 수령 시기를 선택하는 기준은 단순한 수익률이 아닌 ‘나의 삶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지금 이 순간의 행복, 건강, 그리고 재정 상태, 그 모든 걸 균형 있게 고려해보세요.

 

📎 관련 링크:

🔗 Social Security 수령 연령에 대한 공식 자료 보기: https://www.fool.com/retirement/social-security/when-to-star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