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트럼프 관세 정책 총정리: 지금 무엇이 시행 중이고, 앞으로 무엇이 올까?

by 청코너도전자 2025. 5. 14.
반응형

When do tariffs actually kick in? Here's where all of Trump's trade plans stan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부른 관세 정책이 시행된 지 한 달이 넘었습니다. 일부 관세는 이미 발효되었고, 일부는 협상을 위해 유예되었습니다. 그간 발표된 정책들을 종합하면 미국 경제는 단기적 혼란을 겪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장기적 이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현재 시행 중인 관세들

  1.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3월 시행)
    • 전면 시행 중. 단, 영국은 협상 통해 관세 인하.
  2. 멕시코·캐나다산 대부분 제품 25% 관세 (3월 시행)
    • 자동차, 부품, 에너지 등 일부 품목은 예외 혹은 10% 적용.
  3. 10% 기본 관세 (4월부터 시행)
    • 대부분 국가 대상.
    • 기업들은 제품 가격에 '관세세(Tariff Tax)'를 명시 중.

⏸️ 유예된 관세들

  1.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 7월 9일까지 유예
    • 캄보디아(49%), 베트남(46%) 등 높은 추가 관세 예정.
    • 현재는 협상 중이며 영국이 첫 타결 사례.
  2. 중국과의 관세 – 90일 간 대폭 인하 중
    • 미국 → 중국: 145% → 30%
    • 중국 → 미국: 125% → 10%
    • 단, 펜타닐 관련 20% 관세는 유지됨.
  3. 기술 제품 일부 면제
    • 스마트폰, 컴퓨터 등은 미국 내 가격 인상 방지 목적.

🔮 앞으로 나올 가능성 있는 관세들

  • 목재(Lumber)
    • 3월부터 조사 중. 국가 안보 위협 판단 시 관세 부과 예정.
  • 주류(Alcohol)
    • EU가 미국 위스키에 관세 부과 시, 미국은 와인·샴페인 등 200% 관세 예고.
  • 의약품(Pharmaceuticals)
    • 트럼프: "역대급 관세 곧 발표 예정"
  • 반도체(Semiconductors)
    • "자국 생산 유도 목적" 관세 도입 추진 중.

📈 기업 및 소비자 영향

  • 아직 통계상 전반적 인플레이션 영향은 크지 않지만, 향후 수개월 간 가격 상승 압력 증가 예상.
  • 기업들은 재고 선확보 움직임, '가격 전가' 전략 가속화.
  • 소비자는 장난감, 자동차 부품, 수입 주류 등에서 체감 물가 상승 가능성.

🧩 전문가 시각

  • 미국 내 산업 보호 목적 외에도 세수 확보, 무역 불균형 해소, 마약 단속 등 다목적 정책으로 평가.
  • 협상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기본 10% 관세는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 관세’가 글로벌 무역 질서를 흔들고 있습니다. 무엇이 시행 중이고, 무엇이 유예되었으며, 앞으로 어떤 산업에 파장이 닥칠지 지금 정리해보세요.

반응형